반응형
✅ TQQQ와 SQQQ의 "기초 자산(QQQ)"이란?
🔹 QQQ란?
-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ETF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 등 기술/성장주 중심
-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꾸준히 우상향

🔍 즉, TQQQ와 SQQQ는 결국 "기술주 흐름"에 베팅하는 상품이에요.
✅ 기본 개념
항목 | TQQQ | SQQQ |
정식 명칭 | ProShares UltraPro QQQ | ProShares UltraPro Short QQQ |
목적 | QQQ의 3배 상승률 추종 | QQQ의 3배 하락률 추종 |
타입 | 레버리지 ETF (3배) | 인버스 레버리지 ETF (역방향 3배) |
투자 대상 | 나스닥100 지수 | 나스닥100 지수 |
적합 투자 | 상승장 단기 매매 | 하락장 단기 매매 |
💡 하루 수익률 구조 예시
📅 하루 동안 QQQ +2% 상승했다면?
ETF | 하루 수익률 | 설명 |
QQQ | +2% | 일반적인 지수 추종 |
TQQQ | +6% | 3배 상승률 반영 |
SQQQ | -6% | 하락에 베팅했으므로 손실 |
📅 하루 동안 QQQ -3% 하락했다면?
ETF | 하루 수익률 | 설명 |
QQQ | -3% | 시장 전체 약세 |
TQQQ | -9% | 3배 손실 발생 |
SQQQ | +9% | 하락에 베팅해 수익 획득 |
🎯 다양한 실전 예시
📘 예시 1: 추세에 올라탄 단기 매매자 - ‘지훈’의 성공 사례
- 2023년 6월: 엔비디아 실적 발표 + AI 열풍
- QQQ 하루에 +4% 급등 → TQQQ는 +12% 상승
- 지훈은 실적 전날 TQQQ 진입 → 다음날 매도
🟢 수익률: +12% (하루만에!)
✅ 교훈: 강한 상승 재료 있는 이벤트 전후로 짧게 타는 게 핵심!
📕 예시 2: 변동성 무시한 장기 보유자 - ‘수민’의 손실 사례
- 2022년 초: TQQQ를 “QQQ보다 더 벌겠지” 생각하며 적립식으로 6개월 보유
- 결과: QQQ -20% 하락 → TQQQ는 -55% 하락
- 이유: 변동성 누적 + 시장 조정기 → 레버리지 손실 확대
🔴 손실률: -55%
❗ 교훈: TQQQ/SQQQ는 장기 적립 투자용이 아님!
📗 예시 3: 하락장 대비용 단기 헷지 - ‘민재’의 SQQQ 전략
- 2023년 9월: CPI 발표 앞두고 고물가 우려
- QQQ가 하락할 것이라 예측하고 SQQQ 진입
- 다음 날 QQQ -1.5% 하락 → SQQQ +4.5% 수익
🟢 수익률: +4.5% (이틀 보유)
✅ 교훈: 하락 예상시 SQQQ는 단기 헷지 수단으로 매우 유용
📊 연도별 수익률 비교: QQQ, TQQQ, SQQQ
연도 | QQQ 수익률 | TQQQ 수익률 | SQQQ 수익률 |
2021 | +27.51% | +82.98% | -80.38% |
2022 | -32.97% | -79.08% | +72.88% |
2023 | +53.00% | +198.26% | -85.00% |
참고:
- QQQ: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TQQQ: QQQ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입니다.
- SQQQ: QQQ의 일일 수익률을 역방향으로 3배 추종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입니다.
이러한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는 변동성이 높고 장기 보유 시 원래 의도한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방향만 맞추면 수익은 폭발, 반대 방향이면 손실도 폭발
🧠 전략별 TQQQ / SQQQ 활용법
전략 | 사용 ETF | 조건 설명 |
이벤트 단기 베팅 | TQQQ/SQQQ | CPI, FOMC, 실적 발표 전후 단기 베팅 |
돌파 추세 매매 | TQQQ | 박스권 탈출 시, 상승 추세 확인 후 진입 (ex: RSI + EMA) |
데이 트레이딩 | TQQQ/SQQQ | 아침 갭 상승/하락 시, 하루 안에 진입-청산 |
하락장 헷지 | SQQQ | 기존 QQQ 보유자 또는 주식 투자자에게 리스크 완화용 |
⚠️ 주의할 점
- ✅ 하루 단위 수익률만 정확히 3배
- ❌ 누적 수익률은 시장 상황 따라 왜곡 가능 (변동성 마모)
- ❌ 장기 적립식 투자 금지
- ❗ 거래량 많고 인기 많은 만큼 단기 심리 흔들림도 크다
🔎 비교 요약 표
항목 | QQQ | TQQQ | SQQQ |
수익 구조 | 1배 | +3배 상승 | -3배 하락 |
적합 기간 | 장기 | 1일~1주 | 1일~1주 |
위험도 | 중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적합 대상 | 초보~중급 | 고급 트레이더 | 고급 트레이더 |
거래 타이밍 중요도 | 중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 어떻게 3배 수익/손실이 만들어질까?
레버리지 ETF는 파생상품(선물, 스왑, 옵션 등)을 통해 1일 수익률의 3배를 목표로 설계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매일 재조정(daily rebalance)" 된다는 점입니다.
🔁 예시: TQQQ의 재조정 효과
일자 | QQQ 변화율 | 누적 변화율 TQQQ | 이론 변화율 |
1일차 | +2% | +2% | +6% |
2일차 | -2% | -0.04% | -6% |
➡ 하루하루는 정확히 3배지만, 누적 수익률은 복리 효과+변동성 때문에 어긋납니다.
이걸 변동성 침식(Volatility Decay) 라고 해요.
📉 실제 변동성 침식 예시
A. QQQ 변동 없는 "횡보장"
일자 | QQQ 변화율 | TQQQ 변화율 | 누적 TQQQ 수익률 |
월 | +1% | +3% | +3% |
화 | -1% | -3% | -0.09% |
수 | +1% | +3% | +2.91% |
목 | -1% | -3% | -0.17% |
🔻 QQQ는 ±1% 박스권 횡보 중인데
🔻 TQQQ는 매일 +3% / -3% 반복하며 오히려 손실
❗ 이게 장기 보유가 위험한 이유예요!
📊 TQQQ/SQQQ의 거래량과 인기
- TQQQ는 미국에서 가장 거래량 높은 ETF Top 10 안에 들어갑니다.
- 하루 거래량 수백억 달러 규모, 유동성 우수 → 단타/스윙에 유리
- SQQQ도 공포장(하락장) 오면 검색량 급증 + 매수세 유입됨
즉, 시장의 공포지수처럼 사용되기도 해요.
💰 시나리오 기반 예시
📘 시나리오 1: 기술주 급등장
- CPI 발표로 인플레 완화 →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 나스닥 기술주 급등 (QQQ +3%)
- 이 때 TQQQ 진입하면?
👉 +9% 수익 가능
📌 단기 호재 반영 시 가장 강력한 수익성
📕 시나리오 2: FOMC 발표 후 금리 유지 → 실망 매물
- QQQ -2.5% 하락
- SQQQ는 하루 만에 +7.5% 수익
📌 하락장엔 SQQQ가 현금 대안처럼 작동함
📙 시나리오 3: 장기 투자자가 레버리지로 적립식?
- TQQQ 12개월 동안 적립식 → 시장이 중간에 급락+반등 반복
- 결과: QQQ는 +10%, TQQQ는 오히려 손실 가능성 있음
📌 레버리지 ETF는 적립식 금지!
🧠 요약 키포인트 10줄 정리
- TQQQ는 QQQ의 3배 상승률, SQQQ는 3배 하락률
- 매일 수익률의 3배를 추종, 누적 수익률은 꼭 그렇지 않음
- 장기 보유 시 변동성 침식 발생 → 손실 누적
- 파생상품 기반이라 구조는 복잡하지만 거래는 ETF처럼 쉽다
- TQQQ는 강한 상승장, SQQQ는 급락장에 유리
- CPI, FOMC, 실적 시즌 등 이벤트 활용에 효과적
- 거래량 풍부 → 단타/스윙 매매에 최적
- TQQQ/SQQQ는 헷지나 방향성 베팅 용도
- 초보자는 위험 관리 안 하면 큰 손실 우려
- 장기 투자하고 싶다면 QQQ 또는 QQQM이 더 적합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500대 기업을 단 한 번에! SPY로 끝내는 분산투자 (0) | 2025.04.06 |
---|---|
나스닥100 ETF로 미국 기술주 통째로 사는 법 (3) | 2025.04.06 |
디지털화폐 시대, 비트코인과 CBDC는 금본위제의 대안일까? (1) | 2025.04.05 |
"미국 주식·ETF 세금신고, 홈택스로 쉽고 정확하게 하는 법 (0) | 2025.04.05 |
채린이도 할수 있는 채권ETF 투자전략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