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36

( HEAD & SHOULDERS TOP REVERSEL).2

2. 머리어깨형의 형성과정 상승추세에서 고점들과 저점들이 점차 힘을 잃어가는 주요 상승추세선을 그려본다. 이후 상승추세는 상승흐름이 꺾이면서 일정기간 박스권, 즉 수평추세가 이어진다. 이 기간동안 수요와 공급은 균형을 이루게 된다. 일단 이 균형단계가 완료되면 수평 거래 범위의 저점에 걸쳐있는 지지선이 하향돌파되면서 새로운 하락추세가 형성된다. 이 새로운 하락추세는 하락하는 과정에서 고점들과 저점들을 형성한다. ▶위에 그림에서 왼쪽어깨에서 상승추세는 추세가 유지되면서 반전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계속 상승한다. 가격 움직임이 새로운 고점을 갱신함에 따라 거래량도 더욱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정상적이다. B까지의 일시적인 조정하락은 일반적으로 보다 적은 거래량을 동반한다. ▶.경험이 많은 기술적 분석가들은..

경제 2020.04.29

머리어깨형 패턴( HEAD & SHOULDERS TOP REVERSEL).1

↑눈 쌓인 언덕에서 눈을 주먹만 하게 뭉쳐 아래로 굴리면 밑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커진다. 이를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라고 부른다. 주가가 떨어질 때도 "눈덩이 효과" 때문에 상상을 뛰어 넘는 폭락이 나타날 때가 있다. 매물이 매물을 불러오는 악순환 때문이다. 손절매 물량이 나와 주가가 더 떨어지고, 그러면 손절매 물량이 늘어나서 주가는 추락하게 된다. 머리어깨형 반전패턴은 상승추세 이후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 패턴으로 추세전환을 완성하게 된다. 이 패턴은 세 개의 연속적인 고점을 가지고 있다. 즉 가운데 고점 (머리HEAD)이 가장 높고, 좌우의 고점(어깨SHOULDERS)은 가운데 고점에 비하여 낮으면서 대략 비슷한 높이를 지닌다. 각각의 고점 사이의 저점을 연결하면 하나의..

경제 2020.04.29

패턴매매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

주식투자의 가장 확실한 비법은 (BUY LOW SELL HIGH)이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는 이 당연한 비법을 우리는 본능과 감정의 방해로 인해 실천에 옮기지 못하는 것이다. 실제로 투자를 해 보면 사느 것보다 파는 게 매우 어렵다. 매도할 때는 매수가격이 기억에 남기 때문이다. 그래서"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이란 말이 생겼는지도 모른다. 반등시 차익실현을 하든, 밀릴 때 손절매를 하든 "예술적 매도"만이 주식투자를 성공으로 이끈다. 가격패턴에는 반전형 패턴과 지속형 패턴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 반전형 패턴(REVERSAL PATTERN)은 기존의 시장가격 움직임과는 반대의 움직임이 나타날 것을 알려주는 패턴이다. 여기에는 가장 흔히 이용되는 머리어깨형, 3중 천정형과 3중 바닥형, 그리고 V자형..

경제 2020.04.29

반복되는 패턴을 이용한 차트매매

■패턴매매의 정의 패턴매매(PRICE PATTERNS)이란 차트 상에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를 말한다. 증시에서가격의 움직임은 한방향으로 움직이기보다는 저점과 고점의 범위에서 지그재그로 움직인다. 이렇게 지그재그로 움직이는 가격의 움직임을 차트위에다 옮겨보면, 그것들이 대체로 일정한 모양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게된다. 이렇게 차트상에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를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이 패턴분석기법(PATTERN ANALYSIS)이다. 패턴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가정은 "역사는 반복된다.(HISTORY REAPEATS ITSELF)라는 것이다. 주식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결국 사람이고, 이들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일단 마음먹은 바를 잘 바꾸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어떤 상황에 부딪힐 경우, 과거의 상황을 돌..

경제 2020.04.29

점진적 자유주의

소득불평등에 대한 두 번째 사상은 점진적 자유주의이다. 철학자 조롤즈가 정의론에서 처음발표한 사상이다. 1971년에 발간된 이책은 곧 정치철학서의 고전으로 자리잡았다. 롤즈는 사회의 각 단체, 법, 정책이 정의로워야 한다는 전제에서 논의를 시작한다. 그리고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사회 구성원들 모두 정의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까? 모든 사람의 관점은 어쩔 수 없이 그들의 특별한 환경에 좌우된다. 우리는 한번이라도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객관적인 합의에 도달한 적이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롤즈는 다음과 같은 가상실험을 제한한다..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 사회를 지배하는 공정한 법칙을 만들기위해 다같이 모였다고 가정해보자. 그리고 어느 누구도 자기가 어떤 지위를 차지하고 그 사회에 태어날지 모..

경제 2020.04.27

공리주의

공리주의는 정치철학중에서 매우 뛰어난 사상이다. 공리주의의 창시자는 영국의 제레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이다. 공리주의의 목표는 개인의 의사결정 논리를 도덕과 공공정책에 적용하는 것이다. 공리주의는 효용(utility), 즉 한 인간이 주변 환경을 통해 얻는 행복이나 만족감의 개념에서 출발한다. 그들에 따르면 효요은 복지의 측정 지표며, 모든 공공정책의 개인 행동의 궁극적인 목표다. 또 정부 본연의 목표는 사회 구성원 전체의 효용의 합을 극대화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소득 분배에 관한 공리주의자들의 논리는 한계효용 체감현상의 가정에 기초한다. 부유한 사람의 1달러보다 가난한 사람의 1달러가 큰효용을 창줄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 사람의 소득이 증가하면 추가적으로 벌어들이는 1달러에서 나오는 효..

경제 2020.04.20

오즈의 마법사와 은화 자유주조 논쟁

여러분은 어렸을 때 1900년대에 쓰인 동화 "오즈의 마법사"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동화는 집에서 멀리 떨어진 낯선 곳에서 기을 잃고 헤매는 도로시라는 소녀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19세기 후반 미국의 통화정책에 관한 우화라는 사실은 몰랐을 것이다. 1880년부터 1896년까지 미국의 물가는 23% 하락했다. 이러한 물가 하락은 전혀 예상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폭적인 부의 재분배가 일어났다. 서부에 살던 대부분의 농민들은 동부의 은행들에게 빚을 진 상태였기 때문에 물가가 하락하자 농민들이 진 부채의 실질 가지는 증가했고, 은행들은 부자가 되었다. 당시 대중당(1891년에 결성되어 농민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정당) 정치인들은 은화의 자유 발행을 허용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경제 2020.04.15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오늘날에는 아이스크림 콘 한 개를 사는데 최소 2달러가 들지만 늘 그랬던 것은 아니다. 1930년대 한 구멍가게에서는 두 종류의 아이스크림을 팔았는데 작은 것은 3센트, 큰 것은 5센트였다. 아이스크림 값이 올랐다는 사실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 대부분의 물건 값은 오르게 마련이다. 이러한 일반 물가 수준의 상승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물가지수를 보면 지난 70년 동안 물가가 매년 평균 약 4%씩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매년 4%씩 상승하면 70년 동안 물가는 16배 증가한다. 최근 몇십 년간 미국에서 자란 사람들에게 인플레이션은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질지 모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19세기에는 오랫동안 대부분의 물가가 하락한 이른바 디플레이션이 지속되었..

경제 2020.04.12

통화량 조절상의 문제점

공개시장조작, 법정지급준비율, 재할인율 등 중앙은행의 세 가지 정책수단은 통화량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고 해서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정확하게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중앙은행은 두 가지 문제와 씨름을 하는데, 두 문제는 모두 통화량이 대부분 부분 지급준비제도에 의해 창출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첫 문제는 가계들이 예금 형태로 보유라려는 화폐의 양을 중앙은행이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가계가 예금을 많이 할수록 은행의 지급준비금이 늘고, 이를 토대로 은행 전체가 더 많은 화폐를 창출할 수 있다. 반대로 가계가 예금을 적게 할수록 은행의 지급준비금이 줄고, 은행 전체에서 창출될 수 있는 화폐의 양도 감소한다. 이러한 사실이 왜 문제가 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어느 날 사람들이 은행제도를 불..

경제 2020.04.11

지급준비율의 변화를 통한 통화량 창출

화폐 창출 과정은 제1은행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제 제1 은행에서 대출받은 사람들이 그 현금으로 물건을 구입하고, 물건을 판 사람이 그 돈을 제2 은행에 예금한다고 하자, 제2은행의 T-계정은 다음과 같다. 제2은행 자산 부채 지급준비금 $9 대출 $81 예금 $90 제2은행이 예금을 받고 나면 90 달러의 부채가 발생한다. 이 은행의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예금액 90달러 중에서 9달러는 지급준비금으로 남겨두고 나머지 81달러는 어떤 사람에게 대출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은행은 81달러의 화폐를 창출한다. 이 81달러가 궁극적으로 제3 은행에 예금되고, 제3 은행의 지급준비율 역시 10%라면 8.1달러를 지급준비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72.90달러를 누군가에게 대출해 줄 것이다. 제3은..

경제 2020.04.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