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의 정의:
화폐란 무엇인가? 참 이상한 질문이다. 우리는 억만장자 빌게이츠가 돈이 많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고 있다. 무엇이든 원하는 것은 다 살수 있을 정도로 부자라는 뜻이다. 여기서 돈은 재산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화폐라는 단어를 보다 구체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화폐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몇가지 자산을 말한다. 여러분 지갑에 들어 있는 현금은 화폐다. 식당에서 외식을 하거나 옷가게에서 티셔츠를 사는 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여러분이 빌게이츠처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주식을 대량보유하고 있다면 부유할지는 모르지만 이 자산은 화폐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 주식을 현금으로 바꾸기 전에는 주식으로 외식을 하거나 티셔츠를 살 수 없기 때문입니다. 경제학자들이 정의에 따르면 화폐는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몇가지 유형의 자산을 말한다.
화폐의 기능:
화폐는 교환의 매개 수단, 회계의 단위, 가치의 저장수단이라는 셰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화폐는 이러한 세가지 기능을 하나씩 살펴보자.
교환의 매개수단 이란 재화나 서비스를 사는 사람이 파는 사람에게 주는 지불수단이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옷가게에 가서 티셔츠를 사고 돈을 내는 것처럼 물건을 사는 사람이 파는 사람에게 돈을 지불함으로써 거래가 성사된다. 상점에 드어갈때 우리는 그 상점 주인이 우리가 가진 돈을 받고 물건을 내주리라는 사실을 의심하지 않는다. 화폐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교환의 매개수단이기 때문이다.
화페의 단위란 물건 가격을 정하고 채무를 기록할 때 사용되는 기준이다. 티셔츠 한 장의 가격이 20달러고, 햄버거 한개의 값은 2달러라고 하자. 이 경우 티셔츠 한장의 가격은 햄버거 10개고, 햄버거 한개의 값은 티셔츠 10분의 1이라고 말해도 되지만, 물건 값을 이런 식으로 표시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은행에서 융자를 얻는 경우 원리금 상환액도 재화나 서비스의 수량이 아닌 화폐의 단위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 표기할 때는 화폐를 회계의 단위로 사용한다.
가치의 저장수단이란 현재의 구매력을 미래도 이전하느데 이용되는 수단을 말한다. 한 사람이 지금 물건을 팔고 돈을 받으면 그 돈을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다른 물건을 사는 데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폐는 가치의 저장수단이다. 화폐가 유일한 가치의 저장수단은 아니다. 화폐 대신 주식이나 채권 같은 다른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현재의 구매력을 미래로 이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화폐와 여타 자산을 포함한 모든 가치의 저장수단을 일컬어 '재산'이라고 부른다.
유동성은 어떤 자산을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얼마나 쉽게 바꿀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화폐는 일반적인 교환의 매대수단이므로 유동성이 가장 큰 자산이다. 다른 자산의 유동성은 자산마다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주식이나 채권은 적은 비용으로 쉽게 현금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비교적 높은 자산이다. 반면에 주택이나 램브란트의 그림 1948년 조 디마지오 야구카드 등을 처분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므로 이들 자산은 유동성이 낮다. 사람들이 재산을 어떤 형태로 보유할지 선택할 때는 각 자산의 유동성과 가치의 저장수단으로서 유용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화폐는 가장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지만 가치의 저장수단으로서는 결함이 많다. 물가가 오르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물건 값이 인상되면 여러분의 지갑속에 있는 지폐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감소한다. 물가수준과 화폐 가치의 이러한 관계는 화폐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분지급준비제도와 통화 창출 (0) | 2020.04.11 |
---|---|
은행과 화폐 공급 (0) | 2020.04.11 |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하는 일 (0) | 2020.04.11 |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fed)의 구조 (0) | 2020.04.11 |
화폐의 종류와 미국 경제에서의 화폐 (0) | 2020.04.09 |